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투자의 경제학] 주가와 기업가치

예측했던 경기침체와 주가 하락이 현실화되지 않았던 2023년은 투자자들에게 조언 역할을 하는 펀드매니저나 어드바이저들에게는 힘들었던 한해였을 것이다.       GDP 대비 주가(시가총액)  총액 비율(버핏 지수), 주가 대비 매출 비율, 각종 경제 지표 등 여러 가지 자료를 설명하며 주가가 과하게 평가되고 있다는 논리적인 설명은 처음에는 설득력이 있지만 계속 오르기만 하는 것 같은 주가 앞에선 어느 시점부터 투자자의 귀에는 공허한 말의 되풀이밖엔 되지 않는다.     그래서 예측한 전망이 6개월 안에 일어나지 않으면 틀린 것이라고도 한다. 물론 6개월 사이에 나오는 경제 지표나 기업수익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수정을 반복하기는 하지만 예측한 전망을 뒤집을 만한 자료가 출현하지 않으면 시기나 소프트랜딩과 하드랜딩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도착점에 대한 결론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     AI의 붐과 더불어 가장 핫 한 주식의 하나인 엔비디아(Nvidia)는 매출이 급성장하고 있기는 하나 주가(시가총액) 대비 매출 비율(Price to Sales:P/S)이 33 정도 한다.     챗GPT로 유명한 OpenAI 지분의 49%를 보유한 마이크로소프트도 13 정도다.     주가 매출 비율만으로 기업의 가치 평가에 대한 결론을 내리기엔 부족하지만 주가 매출 비율이 이 정도 되면 자산 보호를 제일의 목표로 하는 어드바이저의 입장과 투자 수익 창출을 우선시하는 투자자와의 사이에 이견이 나올 수 있다.     참고로 애플의 P/S는 8 정도, 구글은 6.5, 아마존은 3, 테슬라는 6 정도다. 주가 매출비율만 가지고 주가의 고/저를 평가할 수는 부족하기 때문에 펄(PE Ratio) 성장률이 포함된 PEG Ratio, 해당 업계 등 비교할 부분이 많지만 그렇다 해도 어느 정도의 적정치를 벗어나서 위험 부담이 커진다면 매수를 추천하기에는 어려울 것이다.     업계가 달라 직접 비교는 할 수 없지만, 전기 자동차의 인기로  배터리 수요 급증을 기대함에 따라 많은 투자자의 관심을 받았던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리튬 업계는 리튬 가격이 최고치 대비 80% 정도가 하락하며 해당 업체 주가의 동반 하락을 면치 못했다.     투자란 손해를 감수하고 하는 것이 맞지만, 투자 대상을 결정하기 전에 자산 보존과 투자 수익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지 먼저 결정하고 판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이에 따라 위험도가 높은 곳의 비중을 줄이고 낮은 곳의 비중을 높이는 등의 포트폴리오 편성을 함으로써 나에게 알맞은, 마음 편한 투자를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본다.   ▶문의:(213)434-7787  김세주 / Kadence Advisors, LLC투자의 경제학 기업가치 주가 주가 매출비율 주가 하락 주가 대비

2024-01-31

[투자의 경제학] 목표 주가

2023년은 많은 증권 전문가들에게 쉽지 않았을 한 해였을 것으로 보인다. 경기 침체와 주가 하락을 예측했지만 두 가지 다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증권투자에서 가장 예측하기 어려운 게 타이밍이라고도 한다. 과거 닷컴 버블 붕괴를 조금 일찍 예측해서 메릴린치를 떠난 한 어널리스트는 경제잡지와의 인터뷰에서 다른 거 다 맞아도 타이밍이 틀리면 소용없다는 말을 남겼다.     2023년 S&P500 지수는 4769로 20% 이상 상승해 마감했지만, 올해 연초 뱅크오브아메리카는 4000, 모건스탠리는 약 3900, 소시에테 제네랄은 적정가를 3650 정도로 평가했고 UBS는 S&P500 지수가 2023년에 3800 정도로 마감할 것을 예측했었다.     이들의 예측은 추측이나 기대로 한 것이 아니다. 경제 전망, 기업실적, 금리정책을 모두 고려하고 분석해서 내놓은 수치일 것이다. 또한 2023년에 일어나지 않았다고 해서 예측이 틀렸다고 단정하기보단 타이밍이 미루어졌다고 볼 수도 있다.     급등한 금리로 인해 빠르게 얼어붙을 것으로 보았던 소비자 지출이 예상 밖으로 잘 버텨주었고 물가상승은 연준(Fed)의 의도대로 둔화세로 돌아섰다.     금리 상승으로 인한 지방 은행들의 위기도 일단은 잘 막아낸 것으로 보인다. 주식 가격에 대한 예상은 기업 수익 예상을 바탕으로 그 기업의 가치가 어느 정도 되야 적정한가를 평가해서 나온다.     기업 수익 예상은 해당 기업 경영진의 예상치도 중요하지만, 전반적인 경제 전망과 해당 업종에 대한 전망도 포함된다. 경제가 악화할 것으로 예상하면 그만큼 기업 수익 감소도 분석에 포함돼야 하고 금리가 상승하면 금리 지출 증가도 수익 구조에 포함해야 한다.     이런 여러 요소를 고려해서 기업의 예상 수익에 도달하면 투자자들이 해당 기업의 가치를 얼마로 평가해 주느냐도 목표 주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주식 분석의 가장 기본적인 PE Ratio가 S&P 500지수의 현재와 과거 평균치에 비교하고 수익 성장률을 포함한 수치인 PEG Ratio도 계산하는 것도 목표 주가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환이다.     이렇게 열심히 공부했는데도 예측이 틀린다면 ‘왜’ 틀렸는지를 공부해서 같은 실수를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투자자들이 해야 할 과제다. 실패한 투자가 좋은 공부가 된다면 성공한 실패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문의:(213)434-7787 김세주 / Kadence Advisors, LLC투자의 경제학 주가 목표 목표 주가 예상 수익 주가 하락

2024-01-17

[투자의 경제학] 박스권 탈출

3800과 4200 사이 정도에서 머물던 S&P500 지수가 박스권을 탈출하며 상승하자 그동안 경기침체와 주가 하락을 예상하던 전문가들은 아마도 많은 좌절감을 느꼈을 것이다.     증권가의 매그니피센트 세븐(Magnifient Seven)이라고 불리는 애플, 마이크로 소프트를 비롯한 기술주 위주의 7개 대형주가 대부분의 상승을 견인한 것도 사실이다.     실제로 스탠다드 앤드 푸어 글로발의 분석에 의하면 2023년 상반기 5월 16일까지 이 7개의 주식을 제외한다면 S&P500 지수는 0.8% 하락한 것으로 나타난다고 전하고 있다.     참고로 매크니피센트 세븐 주식은 애플, 마이크로 소프트, 알파벳(구글), 메타(Facebook), 아마존, 엔비디아, 테슬라이다. 내용 면에서 부실한 상승이라고 해도 계속해서 예상한 결과가 나오지 않으면 투자자들의 불안감은 하락에 의한 손해에서 이익을 놓치지 않을까 하는 조바심으로 바뀌게 된다.     경기 침체가 수익 부진으로 이어지고 수익 감소가 주가 하락으로 연결된다는 근거를 가지고 경각심을 외치는 쪽의 의견을 가진 증권 전문가들이 자신들의 견해를 바꾸지 않는 이유는 고집이나 자존심 때문이 아니라 그들이 바라보는 주요 지표에서 의견을 바꿀만한 변동이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전설적인 투자자 제러미 그랜섬은 최근 월스트리트저널과의 인터뷰를 통해 ‘인공지능’ 붐으로 1, 2분기 정도 늦춰지기는 했으나 주식폭락 가능성이 70%라고 말하며 수퍼버블 붕괴를 경고하는 입장을 고수했다.     세계 최대 헤지펀드 중 하나인 브리지워터의 창업자 레이 달리오는 블룸버그 투자 컨퍼런스에서 지금 우리는 부채위기의 시작점에 있으며 경제는 나빠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레이 달리오는 늘어난 부채 발행보다 부채 구매자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금년도 주가 상승을 전망하는 Paul Tudor Jones와 같은 전설적인 헤지펀드 매니저도 있다.     그는 CNBC 인터뷰를 통해 2006년도 금리 환경과 비교하며 금년도는 주가가 상승 마감할 것을 전망했다. 중앙은행이 금리 인상을 중단하고 난 후 1년 정도는 주가가 상승했다는 것이다. 투자자들은 기업가치의 바탕이 되는 것은 실적이라는 것을 명심하고 가치 기반의 변화가 오지 않은 상황에서 투자 결정에 갈등을 느끼는 것을 주의하고 경계해야 한다.   ▶문의: (213)434-7787 김세주 / KadenceAdvisors, LLC투자의 경제학 애플 박스권 주가 상승 투자자 제러미 주가 하락

2023-07-05

[투자의 경제학] 펄(PE 래티오)의 공식

증시의 하락을 예측하는 전문가들은 다우지수나 나스닥 지수를 언급하지 않고 늘 스탠다드 앤 푸어(S&P) 500지수를 가지고 말을 한다.     그 이유는 다우지수는 30개 기업의 주가만 포함돼 있고 나스닥 지수는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의 주가만 포함돼 있지만 S&P500 지수는 미국의 500대 기업들의 주가를 포함하기 때문에 각종 주가 지수중 증시의 동향을 가장 잘 보여준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 최대 금융 업계의 수장들이 경기 침체를 경고하는 가운데 주가 하락을 예측하는 전문가들이 언급하는 지수는 S&P500 지수인데 이들은 어떤 자료를 가지고 예측하는 것일까.     이들이 주가 하락을 예측하는 가장 큰 이유는 경기 침체로 인해 기업 수익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별한 전문 지식이 없어도 경기 침체가 기업 수익 감소로 연결되리라는 것은 상식적으로 예측이 가능하다. 신용카드 빛이 급격히 증가하며 동시에 소비자 예금 액수가 감소하고 있는 수치도 미래에 소비자 지출이 줄어들 것이라는 예상을 가능하게 하는 수치이므로 경제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소비자 지출의 약세는 경기침체 예측에 더욱 신빙성을 가져다준다.     전문가들이 주가 하락 예측을 하면서 정확히 어느 지점까지 하락한다는 수치를 전망할 수 있는 것은 과거 주가의 평균 가치를 바탕으로 계산한 것인데 여기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평가 방법은 PE 래티오(Ratio)이다. ‘펄’이라고도 불리는 PE 래티오(Ratio)는 주가를 순이익으로 나누는 아주 간단한 공식이다.     만약 주가가 100불인데 이 기업의 1년간 순이익이 주당 10불이라면 이 기업의 ‘펄’은 10이 된다. 만약 불경기로 인해 이 기업의 순이익이 주당 5불로 줄어든다면 기업의 가치도 하락할 것이다. 이 기업이 역사상 평균 ‘펄’이 10이었다면 순이익이 5불로 줄어든 결과로 주가는 50불이 될 것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주가 하락을 예상하는 전문가들은 경기 침체로 인한 수익 감소를 전망하며 수익 감소한 만큼의 가치 하락을 계산해 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현재 S&P500 지수가 4000이라고 가정하고 S&P 500에 포함돼 있는 기업들의 순이익이 주당 200불이라고 가정하면 4000을 200으로 나눈 S&P500의 ‘펄’은 20이 된다.     증시 역사적으로 평균 ‘펄’ 16 정도라면 내년 기업 순이익이 200불까지 하락한다고 예측한다면 평균 ‘펄’로 계산할 때 S&P500 지수는 3200, 순익이 220불이면 3500 정도이다.  전문가들의 예상 순익은 180부터 230까지 다양하고 여러 가지 외부요소가 작용할 것이므로 정확한 예측은 불가능하지만 투자자들은 주가 하락의 예측이 막연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염두에 두고 하락도 근거 있는 바닥이 있다는 것을 명심하고 기회로 삼아야 한다.   ▶문의: (213)434-7787 김세주 / Kadence Advisors, LLC투자의 경제학 공식 순이익 경기침체 예측 주가 하락 나스닥 지수

2022-12-07

[열린 광장] 테크업계 냉각기

최근 실리콘밸리의 많은 기업이 기대에 못 미치는 실적으로 주가 하락을 겪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넷플릭스 가입자 숫자가 10여 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는 뉴스는 업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한때 700달러에 근접했던 넷플릭스의 주가는 올해 초에 폭락한 이후 3개월 만에 또다시 폭락해 현재 190달러 선에 머무르고 있다.     팬데믹의 덕을 톡톡히 봤던 줌(Zoom)의 주가도 완전히 팬데믹 직전으로 복귀했다.   월스트리트에서는 최근 산업 전반에 걸친 주가 하락을 빅테크가 주도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과 우크라이나 전쟁, 그리고 팬데믹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중국 때문에 지속되는 생산망 차질도 무시하지 못할 상황이지만, 팬데믹 기간에 승승장구했던 아마존 같은 기업이 분기 적자를 냈다는 건 뜨거웠던 테크 투자 열풍을 식히기에 충분했다.     물론 모든 것이 외적 요인 탓은 아니다.     가령 넷플릭스 주식만 해도 팬데믹으로 인한 상승분이 사라진 건 1월이었다.     이번에 주가가 폭락한 건 스트리밍 산업이 포화상태에 도달하고 있음이 확인된, 업계의 내적 요인에 해당한다.   하지만 테크 주식의 하락은 팬데믹의 종료와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되는 생산망 차질이 가장 중요한 이유로 지목된다.     아마존의 경우 사람들이 다시 오프라인 쇼핑으로 발길을 옮기는 바람에 아마존의 매출이 예전만 못했는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아마존이 큰 투자를 했던 전기차 기업 리비안이 생산 차질을 빚으면서 아마존 주가를 함께 끌어내렸다.     애플 역시 반도체 칩 공급 문제로 이번 분기의 매출이 불안하다는 발표와 함께 주가가 떨어졌다.     빅테크도 결국 지구상에 존재하는 기업들이다. 박상현 / 오터레터 발행인열린 광장 테크업계 냉각기 테크업계 냉각기 생산망 차질도 주가 하락

2022-05-02

올해 상장한 테크 기업 주가 대부분 약세

올해 테크 기업들의 기업공개(IPO)가 러시를 이뤘고 투자자들이 이에 열광하면서 투자했지만 좋은 결과는 나오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매체 CNBC는 IPO, SPAC, 직상장(direct listing) 등을 통해서 올해 상장한 55개 테크 기업의 6일 종가를 조사한 결과, 한 업체(GlobalFoundries)의 주가만이 고점 대비 20% 미만을 유지하고 있다고 7일 보도했다.   20곳 이상의 주가는 올해 고점의 절반 수준에 그치는 등 기업공개 성적이 나쁘다고 덧붙였다.   CNBC에 의하면, 최고가에서 주가가 20% 이상 떨어지면 약세장(bear market territory)으로 분류하는데 올해 상장한 테크 업체 중 한 곳을 제외한 54곳이 이 범주에 속했다고 분석했다.   8월의 최고가 대비 74%나 폭락한 온라인 주식거래 플랫폼인 로빈후드와 7월의 고점보다 58%나 내려앉은 리갈줌닷컴을 포함한 23여개 기업의 주가는 최고가보다 50% 이상 밑돌고 있다.   전문가들은 주가 하락 이유 중 하나로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 상승 등을 꼽았다. 투자자들이 테크 기업 주식을 매수하는 건 현 기업의 가치보다 미래 성장성에 무게를 두는데 시장 금리가 오르면 미래에 생길 이익의 가치가 현재 가치로 환산했을 때 투자 매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이 테크 기업 투자에서 다른 곳으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인플레이션 악화 우려와 연방준비제도의 자산 매입 축소(테이퍼링)와 더불어 기준금리 조기 인상 전망이 테크 기업 주가를 끌어내리는 요인으로 지목됐다. 이로 인해서 성장주뿐만 아니라 대형 테크 기업 주가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투자 전문가들은 “증시 변동성이 큰 데다 코로나19 신종 변이인 오미크론 등으로 인해서 경제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어서 투자자들이 자산 클래스 다각화 등 분산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할 시기”라고 조언했다.             진성철 기자상장 테크 테크 업체 주가 하락 테크 기업

2021-12-0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